폴더 구조나 패턴에 관해 명확히 정리가 필요하여 그 개념을 바탕으로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 왔다.
component와 page의 명확한 차이 및 어떠한 나만의 개념을 가지고 패턴과 구조화를 시킬 것인지를 생각을 해보아야 한다.
폴더 구조나 패턴에 관해 구글링 등 다양한 패턴들을 보다가 좋은 자료를 발견했다.
https://github.com/alan2207/bulletproof-react/blob/master/docs/project-structure.md
bulletproof-react/docs/project-structure.md at master · alan2207/bulletproof-react
🛡️ ⚛️ A simple, scalable, and powerful architecture for building production ready React applications. - alan2207/bulletproof-react
github.com
뭔가 보일러플레이트로 깔끔하게 폴더구조가 정리되어 있는 것 같아서 가져와보았다. 이런 방식으로 명확히 구조화하는 작업이 내 프로젝트에서도 필요했다.
개인적 고민을 했었다. 디자인 패턴 하면, 다양하게 많지만 atomic 디자인 패턴이 좀 공공연하게 알려져 있는데, 과연 이게 진짜 실무에서 적용을 할 때 문제점은 없을지,. 더 복잡해지지는 않을 지 하는 생각들이 들었는데,
https://ko.legacy.reactjs.org/docs/faq-structure.html
파일 구조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legacy.reactjs.org
리액트 공식 문서에서도 " 너무 깊게 생각하지 말라 " 라는 이야기를 했다. 사실 나는 아토믹 디자인 패턴을 신경써서 해야할 수준이 아니고 앞서 이야기한 저 깔끔한 폴더 구조부터 정리를 해야한다. 라는 결론이 나왔다.
그리고 너무 많은 중첩을 피해야 한다는 이야기에도 공감이 간다. 폴더 구조가 너무 깊어지지 않도록 유의해보아야 한다.
'기타(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 개선 리팩토링을 위해 해야할 것 - 1 (상태 관리) (0) | 2024.11.14 |
---|---|
[2024] 프론트엔드 면접 준비 질문 모음 (3) | 2024.09.19 |
[개발] 기술 테크 블로그 모음 (0) | 2024.08.14 |
6월 원티드 프리온보딩 FE과정 - 1 (0) | 2024.06.04 |
원티드 프리온보딩 4회차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