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FE 개발자
JavaScript/TypeScript 생태계에 최적화된 도구NxNx는 강력한 의존성 분석과 캐싱, 시각화 도구를 제공하는 모노레포 솔루션입니다. 중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며 빌드 성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다만 설정이 다소 복잡하고 학습 곡선이 있습니다.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고 확장성이 뛰어나 프로젝트가 성장함에 따라 잘 확장됩니다. CI/CD 파이프라인과의 통합이 우수하고 활발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TurborepoTurborepo는 설정이 간단하고 빠른 빌드 성능을 제공합니다. 소규모에서 중규모 프로젝트에 이상적이며, 설정이 매우 간단해 진입 장벽이 낮습니다. 클라우드 캐싱을 지원하고 작은 프로젝트에서 시작해 확장하기 좋습니다. Nx에 비해 기능이 덜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필요한 기능을 제..
·FE 기술
스크래치 (scratch) 란 무엇인가 - 스크래치는 교육용 비주얼 프로그래밍 언어로, 전 세계 초중등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입문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 핵심 특징1.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 텍스트 코딩 대신 끌어다 놓는 방식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2. 시각적 피드백 : 코드 실행 결과를 즉시 확인 가능3. 다양한 미디어 지원 : 그래픽, 사운드, 애니메이션 등 통합 환경을 제공4. 교육적 설계 : 사용자가 변수, 반복문, 조건문, 함수 등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을 직관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줌 스크래치 프로젝트의 현재 구조스크래치는 오픈소스로서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저장소로 분리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모노레포처럼 동작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https://github.com/scra..
·회고
나의 블로그 글 못해도 3분의 1을 차지하는 트레이드 마크인 회고글을 아마 올 해 8-9월부터 작성하고 있지 않았다.그 이유는 회사 일이 좀 바빴어서 (라고 해두자. 그냥 한 번 놓치니까 까먹었음) 그래서 겸사 겸사 12월 30일인 2024년을 이틀 남겨두고 전체적인 2024년 마무리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 사실 나는 작년 2023년에는 많이 방황을 했다. 뭐랄까 얼마 다니지 않은 회사를 2월에 그만 두고 천안에서 서울로 올라와서 잠시 쉬는 시간을 가졌었던 것 같다.정신을 차리자고 마음 먹었던 것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한 시점 부터였다. 4개월 정도 놀고 6월부터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했었다. 그렇게 필기를 간당간당하게 합격했고, 본격적으로 취업을 준비한 것 같다. 개발자 현실이 이렇게 암담할 ..
·FE 기술
이번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1주차에서는 SPA를 구현하며 여러 중요한 개념을 배웠습니다.특히 History API를 이용한 라우팅, 이벤트 위임과 같은 문제에 관해서 심층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SPA 란?SPA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으로,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지 않고, 동적으로 콘텐츠 (컴포넌트) 만 변경하는 방식이다.즉, 하나의 HTML 페이지로 여러 화면을 구현하며, 사용자가 클릭하여 페이지를 이동할 때 마다 전체 페이지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필요한 콘텐츠만 교체되는 방식이다. SPA의 장점- 빠른 화면 전환 : 서버 요청을 최소화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네이티브 앱 같은 경험 : 새로고침 없이 부드럽게 화면이 전환된다. SPA의 단점- 초기 로딩 속도 : 처음에 많은 데이터를 ..
·기타(etc)
폴더 구조나 패턴에 관해 명확히 정리가 필요하여 그 개념을 바탕으로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 왔다.component와 page의 명확한 차이 및 어떠한 나만의 개념을 가지고 패턴과 구조화를 시킬 것인지를 생각을 해보아야 한다. 폴더 구조나 패턴에 관해 구글링 등 다양한 패턴들을 보다가 좋은 자료를 발견했다. https://github.com/alan2207/bulletproof-react/blob/master/docs/project-structure.md bulletproof-react/docs/project-structure.md at master · alan2207/bulletproof-react🛡️ ⚛️ A simple, scalable, and powerful architecture for buil..
·기타(etc)
회사에서 관리자 페이지를 만들다 보니, 점점 복잡해지는 ui 구조와 "데이터"의 상태를 명확하게 잡아주어야 하는 일이 생겼다. 가장 부족한 문제점이 무엇인 지, 개선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마땅한 지를 지금부터 정리해보도록 하자 문제점 1- 불필요한 전역 상태관리가 되어 있다.이 부분에 대해서는 많이 고민을 해봤다. 단순히 모든 컴포넌트에 활용이 된다고 해서 모든것을 전역화하는게 맞는 것인가? 관리자 페이지 특성 상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하는 방면에서 컴포넌트에 따라서 상태가 계속 바뀔테고 전역으로 한다고 하면 오히려 복잡해지는 상황이 많이 발생된다.  해결방법 1- 일단, 전역으로 되어 있는 상태 다 props로 바꾸기당연히 이 과정에서는 Props drilling이 발생하긴 할 것이다. 하지만 좀..
갓생코딩
갓생코딩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