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FE 개발자
·프로젝트
- 사용자 관점 취준생 프로젝트 회원1. 회원은 로그인을 할 수 있다.2. 회원은 이메일을 중복으로 사용할 수 없다3. 회원은 마이페이지에 접속해 본인의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4. 회원은 깃허브, 구글로 소셜로그인을 할 수 있다.5. 회원 탈퇴를 할 수 있다. 6. 회원은 블로그(아카이브) 글을 작성할 수 있다.7. 회원은 블로그(아카이브)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8. 회원은 블로그(아카이브)에 좋아요를 누를 수 있다.9. 회원은 블로그(아카이브)를 스크랩 할 수 있다. 10. 회원은 이력서를 생성할 수 있다.11. 회원은 본인의 이력서를 볼 수 있다.12. 회원은 본인의 이력서를 PDF, HTML 파일 등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13. 회원은 관심 있는 채용정보를 북마크 할 수 있다.1..
·React
https://ko.legacy.reactjs.org/docs/testing.html리액트에서는 테스팅을 할 때특정한 일을 시작해서 걸리는 속도 vs 사용자가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환경어디까지를 유닛테스트라고 부르고, 어디까지를 통합테스트라고 부를것이냐.unit은 하나의 단위 -> util 함수, api 서비스 함수 하나하나. 딱 하나의 component통합은 page 컴포넌트, 다른 서비스와 묶어서 api 테스트근데 이걸 딱딱 나누는건 중요한 것이 아니다. Jest는 JavaScript 테스트 러너입니다. DOM에 접근하게 하는 jsdom을 통해서 jsdom은 단지 어떻게 브라우저가 작동하는지에 대한 대략적 개요입니다. 하지만 이는 종종 React 컴포넌트를 테스팅 하기에 충분합니다. Jest..
·React
Test Driven Development테스트 주도 개발개발 전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 다음, 테스트가 성공할 정도의 코드를 작성해서 테스트가 성공하면 다시 또다른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다시 성공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실패하는 테스트 코드 먼저! -> 그 다음 성공하는 코드를 작성구현 코드의 퀄리티 향상모든 요구사항(목표) 에 대해 점검요구사항 분석 및 이해 -> 설계 -> TDD시스템 전반적인 설계 향상개발 집중력 향상
·React
좋은 테스트 원칙한번 작성된 테스트 코드는 영원히 유지보수 해야 한다. (유지 보수성을 고려)내부 구현 사항을 테스트 하면 안된다. 너무 내부적인 사항까지 테스트하면 힘들다.재사용성을 높이기 (테스트 유틸리티)배포용 코드와 철저히 분리하기. 포함이 되지 않도록.테스트 코드를 통한 문서화테스트 코드의 구조BeforeEach : 각각의 테스트가 수행되기 전에 호출됨BeforeAll : 딱 한번만 호출 됨AfterEach : 각각의 테스트가 수행된 후에 호출됨AfterAll : 모든 테스트가 다 수행 된 다음에 마무리용으로 한번만 호출 됨테스트 안에는object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준비하는 준비과정 (Given)준비 과정을 여러개의 테스트에 걸쳐 반복해서 사용한다면, 재사용 할 수 있다면 따로 유틸 함수로 정..
·React
단위 테스트 (유닛 테스트)두가지로 나뉘어서 작동한다.test runner : 테스트를 실행 후 결과 생성 (mocha)assertion : 테스트 조건, 비교를 통한 테스트 로직 (chai, expect, better-assert)라이브러리를 따로따로 생성했었다.요즘에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아도 jest를 사용하면 간편하다.  Jesthttps://jestjs.io/Js 환경에서 testing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이다.zero config 복잡한 설정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테스트 할 수 있음.테스트가 어떻게 실패했는 지 정확하게 볼 수 있다. jest 설치 npm install jest --global  터미널에 jest --initpackage.json에 test 될 수 있게 > yes타입스크립트 ..
·React
테스팅에 대해 테스팅이란 무엇인가?software test제품 서비스의 품질을 확인, 소프트웨어의 버그를 찾음제품 (함수, 특정기능, ui, 성능, api 스펙) 이 예상하는대로 원하는대로 동작하는 지 확인플랫폼, 목표,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테스트들이 존재한다.code -(예상하는 요구사항)-> test예상하는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 지? test code를 작성한다. 언제 테스트를 해야할까?원래는 QA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요즘에는 개발을 하면서 자동으로 테스트가 되도록 많이 변화했다.개발을 하면서 테스트를 하게 되면, 자동화 테스트로 속도가 빠르고, 쉽게 작성할 수 있다. 높은 커버리지를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사용자 입장에서 제품이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QA는 늘 필요하다. 테스트를 하는 ..
갓생코딩
갓생코딩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