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ync / await promise를 좀 더 간편하고 간결하고, 동기적으로 실행되는것 처럼 보이게 만들어준다. promise들은 체인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런식으로 하게되면 난잡해질 수 있는데, 이런거 외에 좀 더 간편하게 async await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기존에 존재하는 것을 감싸서 api를 적용하는 것은 syntatic sugar 라고 한다. 깔끔하게 promise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 async function fetchUser() { //네트워크 통신을 받는데 10초정도 걸리는 네트워크가 있다고 한다. return "ellie"; } const user = fetchUser(); console.log(user);만약에 동기적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받는데 1..
Promise 자바스크립트 안에서 제공하는 비동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object 이다. 정해진 장시간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서, 정상적인 기능이 수행 되어졌다면 성공의 메시지와 함께 처리된 결과값을 전달한다. 기능을 수행하다가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면 error를 전달해 준다. state (상태) 프로세스가 무거운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중인지, 기능 수행이 완료되어서 성공했는 지 실패했는 지 상태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미스가 만들어져서 우리가 지정한 오퍼레이션이 수행 중일 때는 pending 상태가 된다. 오퍼레이션을 성공적으로 끝내게 되면 fulfilled 상태가 된다. 파일을 찾을 수 없거나 문제가 있다면 rejected 상태가 된다. producer와 co..
동기(synchronous) 와 비동기 (asynchronous) 자바스크립트는 동기적인 것이다. 바로 hoisting 된 이후부터 코드가 나타나는 순서에 맞춰서 하나하나씩 동기적으로 실행된다. hoisting : var 변수와 또는 function declaration 같은 것들이 선언들이 제일 위로 올라가는 것 동기 console.log("1"); console.log("2"); console.log("3"); 이렇게 작성된 순서에 맞게 console.log를 찍으면 1,2,3 이렇게 차례대로 나오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비동기 asynchronous 정해진 순서에 맞지 않고, 언제 실행될 지 모르는 것이 비동기이다. console.log("1"); setTimeout() console.log("2"..
JSON 유용한 사이트 모음 더보기 JSON에 대해 조금더 공부를 하고 싶으시면: MDN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 JavaScript.info ➡️ https://javascript.info/json JavaScript.info 한국어 ➡️ https://ko.javascript.info/json 유용한 사이트: JSON Diff checker: http://www.jsondiff.com/ JSON Beautifier/editor: https://jsonbeautifier.org/ JSON Parser: https://jsonparser.org/ JSON Validator: https://tools.learningcontainer.com/j... HT..
배열 API 정리 join const fruits = ["apple", "banana", "orange"]; const result = fruits.join(); console.log(result); 결과 : "apple", "banana", "orange" 배열을 string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배열에 있는 모든 것을 더해서 string으로 리턴한다. 전달해준 separated를 통해서 각각 구분자를 넣어서 전달한다. (”,” )이라면 이렇게 구분자를 넣어줌 디폴트는 , 이렇게 구분해준다. split split은 총 두가지의 파라미터를 받는데, 하나는 ‘,’의 구분자이고 하나는 리밋이라는 파라미터로 2개만 전달받고 싶을 때 할 수 있다. 구분자는 필수 파라미터이고, 리밋 파라미터는 안해도 상관..
배열 자료구조 : 비슷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묶어서 보관해놓는 것 (동일한 타입의 오브젝트를 담을 수 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담을 수는 있다(좋지가 않음)) 데이터를 보관해놓은 자료구조 중에서도, 삽입, 삭제, 정렬, 검색 같은 효율성이 있다. 배열은 칸칸이 촘촘히 모여있는 자료구조이다. index가 지정이 되어 있어서 0부터 시작한다. 배열을 이용해서 자료들을 보관할 수가 있다 한 배열안에는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넣는 것이 중요하다. index로 접근이 가능하다. 삽입과 삭제가 편하다. 배열 선언 const arr1 = new Array(); const arr2 = [1, 2]; 이렇게 배열을 만들 수 있다. 배열을 공부할 때는 Index를 기준으로 배열이 저장되기 때문에 ..